top of page

사용한 웹서비스들(및 참고)

필수 사용 웹서비스들 :

사이트 가입및, 무슨 목적에서, 어떻게 썻는지 설명(이야기) 합니다.

캔바

: 방송 로고 만드는데 썻습니다. 서울비님 강좌에 나왔지요.(http://seoulrain.net/2015/10/21/monkeypodcast/)

그래픽 디자인 센스가 없는 제게 훌륭한 선택이 되어 주었습니다.

제 방송 로고도 저걸로 만들고 포토 스케이프로 수정해서 완성했습니다. 웹서비스나, 전문가용 툴이 아니라 모바일에 익숙하시면

다양한 사진들에 프레임 씌워주는 간편한 사진편집 포스터 앱이나… 텍스트 넣어주는 편집앱에서 만들어진 이미지를 쓰셔도 좋을거예요.

여기서부터 머리가 복잡해집니다. 내가 만들고 싶은 방송의 색깔이나, 테마, 하고 싶은 이야기 주제, 이런걸 잘 드러내는 이미지여야 되거든요.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어떤 느낌으로 전개하고 싶은지 잘 드러나는 이미지를 만드는게 쉽지 않습니다…

이머

: 캔바로 만든 이미지 파일을 웹에 저장해놓고 xml 만들때 (서울비님의 표현을 인용하면, 애플에 제출할 원서 만들기 할때) 태그로 끌어 오기 위해 쓰는 무료 저장소 입니다. 다양한 짤방들이 올라오는 곳이기도 합니다. 서울비님 가이드 따라하느라 가입을 했습니다.(….)

우리가 팟캐 검색할때 시디 커버 같이 생긴 이미지 보고 고르기도 하지요? 여기다가 팟캐스트의 얼굴이 되는 커버 이미지를 올려놓는 곳입니다.

네이버 같은데다 올려놓고 마우스 오른쪽키 : 이미지 링크복사, 해서 나온 주소 쓰면 이미지가 나와야 할데에 네모빨간박스만 나옵니다… 망함.

자기가 익숙한 이미지 올려놓고 img 따올수 있으면 그 서비스 쓰면 됩니다.

이미지 만들고 저장하고 그럴때 사방 1400픽셀이상, 용량은 500k안 넘어가야 됩니다. 왜냐면 애플에서 등록하는 이미지 크기와 파일 사이즈를 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내가 만든 이미지파일 크기가 크다, 하면 이미지 파일의 사이즈를 줄여주는 웹서비스나,

이미지 편집툴을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인터넷 아카이브

: 호스팅 없이 내 파일을 올려놓고, 링크를 따다 다른 플랫폼에서도 억세스가 가능하도록 한 호스팅 서비스(?) 입니다.

장점 : 사용자들이 억세스하거나 재생할때마다 ‘로그’ 가 잡힌다 (누가 몇번 봤는지 확인 가능함)

구글 피드버너로 만든 RSS 피드는 ‘구독자’ 만 보이게 됩니다. 즉, 어떤 에피소드가 얼만큼 재생되었는지는 확인이 어렵단 이야기죠.

근데 인터넷 아카이브에 올린 파일은 ‘재생횟수’ 로깅이 됩니다. 즉, 어떤 에피소드 재생이 많이 되었는지 알수 있는것이죠.

는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_- 그냥 아카이브 유저가 재생해서 보거나 들은걸수도 있음.

* 아이튠즈에 팟캐스트 피드를 전달해서, 승인이 나면, 아이튠즈 내에서 재생률이 높은 에피소드는 ‘인기도’ 로 표시 되기도 합니다^^

단점 : 올린 파일 깨끗하게 지우는게 잘 안된다. 찌꺼기가 남고, 지우는 과정이 성가시다.

드랍박스

: 방송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xml 을 업로드 해두는 곳입니다.

* XML은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만들도록 합시다. 저는 아톰 텍스트 에디터 추천합니다!

유료 사용자의 경우에는 트래픽 한계도 좋고,

팟캐스트를 위한 데이터 파일을 업로드 해놓고 호스팅서버처럼 쓸수도 있습니다.

(안해봐서 잘 모름. 근데 된다고 함)

구글 피드버너

: 팟캐스트를 큐레이션 해주는 애플, 팟빵 등에 광고용으로 쓰이는 RSS FEED를 만들어 줍니다.

인터넷 어딘가에 업로드 되어 있는 XML 파일을 피드로 만들어 구독자들에게 업데이트 내역을 그때그때 알립니다.

구글 아이디 있으면 자동으로 가입되는것 같습니다.

피드버너 등록 시작할때 ‘너님 팟캐스터임?’ 하고 물어볼 정도인거 보면… 사용자들이 무척 많은가봐요.

그리고 구글피드버너로 구으면, 내 팟캐스트 구독자가 몇명인지 볼 수 있습니다.

통계로 어떤 에피소드가 많이 재생되거나 다운로드 됐는지 보는거도 재밌습니다. 정확하진 않습니다 -ㅅ-;

* RSS FEED란?

예를들면, 중고 물품으로 비싼 장비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쿨매가 뜨면 사야 되겠지요?

근데 하지만 하루종일 그 사이트만 보고 있을수는 없겠습니다.

그때 핸드폰 스팸문자 광고처럼 띠링, 하고 ‘새글이 올라왔습니다’ 하는 알림이 옵니다.

RSS 피드란, 그런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업데이트가 되자마자 ‘당신이 보고자 하는 글/영상 등이 업데이트 되었으므로, 보세요’

하고 문자 메세지처럼 알림을 주는것입니다.

이메일 푸시나.. 뭐 이런걸 게시판에서 가능하게 한건데,

팟캐스트 업데이트 내역도 구독자들에게 알리는 방식으로 RSS 피드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서울비님 강좌를 꼼꼼히 살펴보세요(…)http://seoulrain.net/2015/10/21/monkeypodcast/

XML 하나도 몰라도 괜찮습니다. 저 강좌 보고 하라는데로 스텝바이 스텝으로 따라가시구요,

내가 작성한 XML이 제대로 동작하는것인가? 정상인가?

확인하려면 피드 검증을 해보면 됩니다. 피드버너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해요. 틀린 부분이 뭐고,

뭘 잘못 적어서 이 피드가 제대로 안 돌아가는가? 를 꼼꼼히 알려줍니다. 그거 보고 찾아서 틀린데 고치면 동작합니다

: 아이튠즈 팟캐스트 커넥트

만들어진 RSS 피드를 애플에 제출하는 것입니다. 테스트로 만들면 퇴짜를 먹으니,

처음부터 제대로 된 컨텐츠를 제대로 송출하겠다. 로 마음먹는게 좋습니다. 테마를 잘 잡아야 해요…

하여튼 여기다 ‘팟캐스트 방송 할거야’ 하고 RSS피드를 제공하면, 1~3일 내외로 ‘응 너 해라’ 하고 방송국 페이지를 얻을수 있어요.

http://help.apple.com/itc/podcasts_connect/

영문이긴 하지만 사이트를 꼼꼼히 뒤져 보시면 어떤식으로 방송을 만드는것인가? 개요를 잡을수 있습니다.

: 팟빵

한국에서 왠만한 팟캐스터들은 다 이 서비스 이용하시더라구요 -_-;

전용 호스팅 서비스와 연결하면 기술적인 부분은 1도 몰라도 컨텐츠만 갖고 방송 하는게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좋은 점이 한가지 있으니, 이 호스팅 서비스에 등록한 사람들은 업체가 하자는 대로 할수밖에 없다는거죠.

최근엔 오디오 팟캐스트에 ‘팟빵’ 사업자 이름으로 ‘광고 시간’ 을 넣겠다는 공지가 -ㅅ-….

호스팅하고 방송 설계 해주는데 유저의 돈을 받았으면 됐지, 강제 광고를 할거고, 그건 상생을 위한거다. 라고 선언하는게 어딨어…

팟빵이랑 여기 업체 끼어서 호스팅 받는 분들은 좀 속상하실듯 ~_~.

유튜브

: 영상 방송 업로드 및, 실시간 방송을 위해 씁니다. (핵심 키워드 RTMP)

영상 업로드 후, 광고를 개제하여 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광고가 나간다고 무조건 수익으로 잡히는건 아니고 ㅠㅠ

스킵을 안하고 끝까지 봐주실때.

혹은 배너 클릭을 하셨을때만 수익이 잡힌다고 하네요.

일단, 내 동영상을 수익 잡히는거로 만드려면 구글 애드워즈에 가입해야 합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 지원하고 있으며 (베타지만) OBS에서도 RTMP)끌어다 쓸수 있습니다.

—— 여기까지는 제가 쓰는거고 쓸 것들 ——

—— 여기서부터는 참고 ——

아프리카

: 가장 대중적인 개인 방송 프로그램입니다.

이제 ‘별풍선 쏴드려야겠어요’ 는 드립으로 쓰일만큼 흔한 구어가 되었죠.

서비스는 매우 후집니다. 방송을 보기 위해 사전에 시청해야 할 광고 시간도 엄청 길고,

전용 클라이언트는 하드를 힘들게 한다고 합니다(전 맥이라 아예 이거 깔 생각도 안하고 아프리카 RTMP만 땃습니다)

라는것은, 얘도 OBS에 연결 가능하단것.

한국인 이용자 풀이 많지만, 아프리카 BJ중 높은 인기를 구가하는 분들은 다 유튜브로 옮기고 있으며,

세간의 평가도 여기서 BJ한다고 그러면 컨텐츠 내용과 별 관계 없이 ‘너 별창이야?’ 하는 기분 나쁜 소리를 듣게 될 확률이 크니

안쓰는것을 추천합니다.

페이스북 라이브

: 안해봤습니다.

방송 종료후 파일을 게시할건지 세이브할건지 선택할수 있다고 하고,

시청자와 조회수 같은게 뜬다고도 하네요 ^ㅅ^. (이 사람은 겁쟁이라 자기 이름 걸고 방송하는거 못하겠다)

짧은 먹방이나 쿡방, 혼밥, 혼술에 많이 쓰이는것 같습니다. 소셜이팅이 별건가요.

페리스코프

: 트위터랑 연동 되는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 입니다. 이런거 많죠.

실시간 방송인데요, 방송중 피드백 받을수 있으며, 방송 종료후 자동으로 녹화가 되어 로그가 남고 유저들이 다시 재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걸어다니다 뭐 신기한거 봤을때, 아니면 산책하면서…. 뭐 이런 용도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들이 많습니다.

실시간 방송을 할때보다 핸드폰으로 특정 장면 따와야겠다 -_- 싶은거 나중에 집에와서 정리할때.

그때 일시 캡쳐용으로 쓰면 좋을듯 합니다. (그냥 전화기 카메라 앱을 열면 될텐데.. 라고 말하고 싶으시죠?(…)


맛있는 차를 위해

​TIP 3

#1 

티백은 오래 우리지 말고, 물에 넣어 흔들어 15초. 

그리고 버리세요.

 

#2

뜨거운 물을 먼저 따르고

차를 넣으세요.(녹차) 

 

#3

차만 마시지 말고,

늘 과자를 곁에 두세요.

아무거나 괜찮아요.

© 2016 by Salt & Pepper.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